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강박 장애의 증상과 특징

by Sneakers2022 2025. 2. 6.
반응형

pixabay

 

강박장애란 강한 불안이나 고집에 의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병입니다.
예를 들면 '문을 잠궜나?' , '까스 불을 껐나?'   등과 같은 생각으로 불안감이 심해져서 외출을 했다가도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등 일상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는 증상을 가집니다. 


이러한 불안이나 조건이 과도하게 되어, 예를 들어 문 닫기나 불의 원인을 몇번이나 끈질기게 확인해도 안심할 수 없거나, 특정의 숫자를 고집하기 때문에 생활이 불편하게 되거나 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강박 장애는 생활상의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10대 질환의 하나로  보고 있으며 강박 장애는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라고 합니다. 

강박 장애의 특징은?


스스로도 불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고, 알고 있으면서도 몇 번이나 같은 확인 등을 반복하는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됩니다. 자신의 의지에 반해서 머리에서 항상 특정한 생각이 반복되어서  특정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를 반복하는 행위를 강박행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몸이 불결하게 생각되기때문에  과잉으로 손을 씻는다던지, 문 닫기 등을 몇번이나 확인하지 않고는 못견디는 행동 특성등을 나타나게 됩니다. 

 


강박 장애는 '강박관념'과 '강박행위'라는 두 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강박관념이란, 머리로부터 떠나지 않는 생각으로, 그 내용이 불합리적인 것이라고 알고 있어도, 머리로부터 쫓아낼 수 없습니다. 또한 강박행위란 강박관념에서 발생한 불안에 의하여 행하는 행위입니다. 스스로 이것이 무의미하다라는 것을 알고 있어도 그만둘 수 없는 증상을 가집니다. 

대표적인 강박관념과 강박행위들 


불결 공포 :  ​​더러움이나 세균 오염의 공포를 과도하게 느끼고 강박적인 생각을 하기때문에 과잉으로 화장실을 청소하거나, 목욕을 반복하거나, 세탁을 되풀이하는 행위를 합니다.

 

가해 공포 : 누군가에게 해를 끼쳤을지도 모른다는 불안한 마음이 떠나지 않고, 신문이나 텔레비전에 사건·사고로서 나오고 있는지 확인하거나, 경찰이나 주위의 사람에게 확인하거나 한다.

 

확인 행위 : 문을 잠궜는지 반복적으로 확인, 가스를 잠궜는지 반복적인 확인, 전기 기구의 스위치를 잠궜는지등을 과도하게 확인한다.

 

의식 행위 : 자신이 정한 절차대로 일을 하지 않으면, 무서운 일이 일어난다는 불안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며 어떤 경우에도 같은 방법( 같은 루틴 )으로 일이나 가사를 해야 한다.


특정 숫자에 대한 고집 : 불길한 숫자, 행운의 숫자에등에 지나치게 집착을 한다.  
 
일상 생활, 사회 생활에 악영향을 끼치는 강박장애


문을 잘 닫았는지, 가스를 잠궜는지 등을 여러번 확인하기 때문에 외출을 했다가도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등의 행위를 하기때문에 약속시간에 늦거나 이를 무시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매일 강한 불안과 강박 행위에 쓰이는 에너지가 크기때문에 심신이 피로하여 건전한 일상생활이 보내기가 어려워집니다.
 
가스 점검이나 문 닫기등의 확인을 가족들에게 여러 번 반복하여 확인하거나 과도한 소독을 강요하는 등 주변 사람들을 매우 피곤하게 합니다.  강박 장애를 가진 사람은 스스로는 병이라고 할 정도로 심하지 않다라고 느끼고 있어도, 가족이나 친구 등 주위의 사람이 곤란해하고 있는 모습이라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강박장애 환자의 대부분은 강박 증상과 함께 우울증, 불안증을 가지므로, 항우울제와 인지 행동 요법등의 치료로 증상을 개선시키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